졸업 후 진로
첨단에너지공학과를 졸업 후에는 에너지 생산, 저장, 변환 등의 에너지 산업 뿐만 아니라, 반도체, 전기전자 등의 첨단 소재 및 부품 산업, 정밀 화학 분야에 이르기까지 모든 공공기관, 산업체, 연구소, 공무원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.
산업 진출 분야
분류 | 산업군 |
---|---|
에너지 분야 | 이차전지, 에너지 저장장치(ESS), 태양광, 연료전지, 수소에너지, 전력, 폐자원 활용 등 |
첨단 소재/부품 분야 | 에너지, 전기전자, 자동차, 디스플레이용 고분자 및 유무기 복합소재 및 관련 부품 |
응용화학 분야 | 코팅, 필름, 계면활성제, 접착제, 계면활성제, 합성수지, 석유화학 등 |
산업안전분야 | 산업안전, 산업보건, 위험물관리, 배터리화재안전 |
취업 진로
분야 | 내용 |
---|---|
공공기관 | 한국전력공사, 한국에너지관리공단, 한국에너지 재단, 부산환경공단, 한국산업인력공단, 한국환경공단, 한국산업인력공단, 한국난방공사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, 근로복지공단, 각 시·도 및 지방자치단체(안전보건관리자) , 국가기술직 공무원(고용노동부 안전보건직 감독관) |
기업 | 대기업 : LG에너지솔루션, 삼성SDI, SK온, LG화학, 포스코케미칼, KCC, 한화솔루션, 삼성전자 삼성전기, SK하이닉스, 현대자동차, 한화오션 등 중견/중소기업 : 에코프로비엠, 아이오니아에너지, 한화 큐셀, 엘엔에프, 대주전자재료, 일진머티리얼즈, 한솔케미컬 등 국내 300인 이상 사업장 안전관리자, 보건관리자 각각 산업안전보건법 및 중대재해 처벌법에 의거 의무채용 |
연구소 |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,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, 한국전기연구원, 한국생산기술연구원, 한국화학연구소, 전자기술연구원, 안전보건전문기관 등 |
진학 | 에너지, 소재, 화학, 안전, 보건 관련 학과 대학원 (에너지공학과, 화학공학과, 고분자공학과, 신소재공학과, 화학과, 안전보건공학과 등 ) |
관련 자격증
- 에너지관리기사
- 산업안전기사
- 위험물산업기사
- 화학분석기사
- 화공기사
-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(태양광)
- 화평법/화관법 전문가